성장기록지
안드로이드 토막 지식 정리(Intent Filter, Context,Activity,Fragment) 본문
Manifest file에 선언한 Intent Filter의 의미
- The ACTION_MAIN action indicates this is the main entry point and does not expect any intent data.
- ACTION_MAIN은 메인 진입점을 가리키고, 어느 intent data도 기대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 간단히 말하자면 진입지점을 알려주는 것이 목적이란 뜻이다.
- The CATEGORY_LAUNCHER category indicates that this activity's icon should be placed in the system's app launcher. If the <activity> element does not specify an icon with icon, then the system uses the icon from the <application> element.
- 이 액티비티의 아이콘이 시스템의 앱 런처에 배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냄
- activity 요소에 아이콘이 없으면, application 요소의 icon (앱 기본 아이콘)을 사용한다.
- 간단히 말하자면 런처에 표시되는 액티비티라는 뜻이다.
이들 두 가지가 짝을 이루어야 액티비티가 app launcher에 나타날 수 있다.
요약하자면 intent-filter를 통해 이 액티비티가 메인이고, 런처에 표시되어야 한다고 말해주는것이다.
Activity Stack
마지막에 쌓인 액티비티가 먼저 제거되는 방식이다! (LIFO)
이를 통한 액티비티의 간단한 설명
안드로이드 앱에서 UI를 표시해주는 진입점으로, 사용자가 화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액티비티는 생명주기(Lifecycle)를 가지고 있어 앱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으며, 실행 순서에 따라 스택 형식으로 쌓이게 됩니다.
Activity의 this란?
현재 Activity를 가리킨다.
왜 packageContext인가? -> AppcompatActivity의 상위 타입이 Context이기 때문이다.
Context란?
애플리케이션 환경에 대한 전역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이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구현이 제공되는 추상 클래스이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지원을 해주는 리소스에 접근을 할 때 주로 필요하다.
(안드로이드 개발환경과 관련된 정보들이 선언된 클래스임.)
Fragment는 언제 사용되는가?
액티비티 안의 영역을 재사용할때 (Reusablity)
작고 독립적인 구성 요소(Fragments)로 나눌 때 (modulartiy)
'안드로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의 Clean Architecture란? (0) | 2025.01.07 |
---|---|
android 권장 아키텍쳐란? (0) | 2025.01.02 |
Fragment Manager란? (0) | 2024.12.30 |
suspend 함수의 내부 구현 알아보기(CPS) (0) | 2024.12.29 |
사용하기 전에 알아보는 Jetpack Room (1) | 2024.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