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1 (26)
성장기록지
StabilityCompose는 타입을 stable과 unstable로 간주한다. stable은 mutable이여도 값의 변경을 알 수 있는 경우나 immutable 타입일 때 이다. composable에 변경되지 않은 안정적인 매개변수가 있는 경우 컴포저블은 해당 매개변수를 스킵한다. unstable은 값의 변경을 알기 어려운 경우이다.Compose는 composable에 unstable 파라미터가 있는 경우 매번 recomposition을 하므로성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따. Immutable한 객체 예시 (Stable)파라미터가 전부 val로 정의된 원시타입이기 떄문에 변경을 할 수 없다. 따라서 immutable 하고, stable class이다참고) 모든 원시 타입은 immutable이다. ex)..
문제 풀이트리를 순회하며 각 노드의 번호를 구하는 문제이다.트리는 중위순회를 진행하라고 설명에서 작성되어 있다.(중위순회란? LEFT - ROOT - RIGHT 순서대로 순회하는것.) 재귀를 통하여 문제를 풀고자 하였다.한 노드의 왼쪽 자식노드 인덱스는 2^n+1 이고 오른쪽은 2^n+2 이기 때문이다.따라서 아래와 같이 재귀함수를 구성하였다.def back(n): if n>=max_count: return back(2*n + 1) ans[n] = lst.popleft() back(2*n + 2) 루트 노드들은 먼저 입력받은 숫자에서 가장 왼쪽 값을 빼서 넣어주며 정답 리스트인 ans를 완성하였다. 이후에 for문을 통해 각 레벨마다 값을 출력해주며 마무리하였다. ..
부스트캠프 미션이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네트워크 통신에는retrofit과 Okhttp를 같이 쓰는게 거의 정석처럼 사용되어졌다.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기술 사용에 대한 근거를 세워보고자 한다.1. HttpURLConnection안드로이드 초창기에는 자바로 만들어진 HttpURLConnection이 네트워크 요청의 표준이었다고 한다.자바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클래스이기 때문에 호환성 문제도 없고 가볍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현재 시점에선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다. 비동기 처리HttpURLConnection은 기본적으로 동기 방식으로 동작한다.즉, 네트워크 요청이 완료될 때까지 메인 스레드가 차단(blocking)된다.실제로 부스트캠프를 하며 httpUrlConnection을 사용해 보았을 때..
문제풀이같은 단어를 그리디를 통해 어떻게 최대값과 최소값을 구별하는지가 목표인 문제다. 나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문제를 풀었다. 최댓값은 M의 값들을 모두 10으로 곱해 누적한 뒤 K를 만나면 최종적으로 5를 곱해 처리.최소값은 M의 길이에 따라 지수 계산 (10^(길이-1))으로 값을 처리하며, K는 5를 직접 추가생각보다 쉽게 풀려서 놀랐던 문제이다. 코드n = input()num=''ans_lst=[]for i in n: num= num+i if i=='K': temp=1 for j in num: if j =='M': temp= temp*10 elif j=='K': tem..
MVVM 아키텍처 패턴 개요MVVM(Model-View-ViewModel) 패턴은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서 구조적 명확성과 확장성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설계 패턴이다. 이 패턴은 다음 세 가지 구성 요소로 나뉜다.1. Model앱의 데이터 및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한다.데이터 소스와의 상호작용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2. View역할: 사용자가 직접 상호작용하는 UI 부분. 레이아웃 파일(.xml), Activity, Fragment 등이 포함된다.의존성 제거: LiveData나 DataBinding을 사용하여 ViewModel과의 의존성을 최소화한다.주요 기술:LiveData: ViewModel로부터 데이터를 관찰하고 변경 사항을 자동으로 UI에 반영.DataBinding: 레이아웃 파일에 ViewMo..
적용 계기다음과 같은 배너를 Custom View로 구현하고자 하였다. (현재는 배너 이미지로 대체하였다. 이유는 아래 서술)모델 이미지의 오른쪽 아래를 보면 배너와 같이 라운딩 처리가 되어있는것을 확인하였다.디자인의 요구사항과 똑같이 라운딩 처리를 해주고자 하였다.적용 과정먼저 이미지뷰에 라운딩 처리를 하는 법을 찾기 위해 구글을 검색하였다.사진과 같이 나오는 래퍼런스들은 많지만, 다 만족스럽지 않았다.clipToOutline을 통해 코드에서 동적으로 할당하거나,CardView를 활용하거나 하여 여러모로 불편한 조건들이었다.그러던 중, 부스트캠프 동료에게서 ShapeableImageView를 사용해보라는 말을 들었다! ShapeableImageView 적용하는 법은 간단하다.ImageView를 Sha..
data binding기존에 viewBinding을 포함한 기술에선UI 컴포넌트는 Activity나 Fragment에서 코드를 통해 속성을 설정해왔지만,data binding을 활용한다면 xml파일 내에서 view에 할당할 데이터를 선언할 수 있고,데이터가 변경되면 view도 갱신되게 된다. 즉 Layout의 Ui 컴포넌트를 데이터에 binding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라이브러리이다.data binding의 특징뷰바인딩은 데이터를 뷰(ui)로만 전달이 가능하지만,데이터 바인딩을 사용한다면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결합시킬 수 있다.레이아웃에서는 주어진 데이터로 UI를 출력하기에, 데이터만 관리하면 되니 역할분리도 제대로 되어진다!이러한 장점을 통해 MVVM 패턴을 적용할 때 사용되어진다. 그렇다면 view ..
컴포저블 내부에서 호이스팅그림과 같은 예시를 보자.전체 화면을 ConverSationScreen이라고 하고, 메시지가 보이는 목록들이 MessagesList,Jump to Bottom이라고 작성되어있는 버튼을 Button,Hi there! 이라고 적혀있는 입력창은 userInput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Jump to bottom을 누르면 MessagesList 가장 아래로 가게 해줘""새로운 메시지를 send해도 가장 아래로 가게 해줘" 그렇다면 계층구조는 어떻게 되어있을까? 그림과 같이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State hoisting을 이용해 재사용성을 높이고 싶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그렇다면 어느 State를 어디까지 호이스팅 해야할까? 공식문서에서 아..
State hoisting?Hoisting은 번역하자면 "끌어올림"이라는 뜻이다.그럼 상태를 끌어올린다는 뜻인데, 상태는 무엇인지, 어떻게 끌어올린다는건지 감이 안 올 수 있을것이다. 그럼 우선 상태에 대해 알아보고 가자. State란?상태를 이해하기 위해선 다음 예시코드를 읽어보자.앱을 실행시킨 후, 이 코드의 텍스트필드에 타이핑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정답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텍스트필드에는 아무런 텍스트가 표시되지 않는다.@Composableprivate fun HelloContent() { Column(modifier = Modifier.padding(16.dp)) { Text( text = "Hello!", modifier = Mo..
Clean ArchitectureRobert C. Martin (Uncle Bob)가 만든흔히 과녁모양으로 불리는 그림을 토대로 구성한 아키텍쳐를 의미한다.복잡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보다 관리 가능하고 유지보수 가능한 형태로 구축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Clean Architecture의 모든것이 아래에 담겨있다고 볼 수 있다. Clean Architecture의 이점The Clean Code Blog에 의하면, Clean Architecture가 시스템에 주는 이점은 아래와 같다고 한다.영어로 읽기 쉽지 않으므로 하나씩 해석해보도록 하겠다.Independent of Frameworks. The architecture does not depend on the existence of some libr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