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안드로이드 (27)
성장기록지

프로젝트 진행할 때 적용하였던 클린아키텍쳐를 설명하기 위해선먼저 안드로이드 권장 아키텍쳐를 설명하는것이 좋다고 생각하여서정리하는 글을 작성해보고자 한다. 일반적인 아키텍처 원칙앱 아키텍처는 앱의 부분과 그 각 부분에 필요한 기능 간의 경계를 정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몇가지 특정 원칙을 준수하여야 한다.1. 관심사 분리Activity,Fragment와 같은 UI 기반 클래스에는 UI 및 운영 체제 상호 작용을 처리하는 로직만 포함하여야 하는 것처럼각자의 관심사에 맞게 책임을 가진 코드를 분리하여야 함을 의미한다.Activity와 Fragment는 OS와 애플리케이션을 이어주는 클래스이므로, 메모리부족과 같은 경우에 프로세스 킬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관심사 분리 없이 해당 컴포넌트에 모든 코드를 넣게..

Manifest file에 선언한 Intent Filter의 의미 The ACTION_MAIN action indicates this is the main entry point and does not expect any intent data.ACTION_MAIN은 메인 진입점을 가리키고, 어느 intent data도 기대하지 않는다는 뜻이다.간단히 말하자면 진입지점을 알려주는 것이 목적이란 뜻이다.The CATEGORY_LAUNCHER category indicates that this activity's icon should be placed in the system's app launcher. If the element does not specify an icon with icon, then the..

공식문서의 말대로 Jetpack Navigation을 사용한다면 큰 의미가 없겠지만,프래그먼트를 사용하는 모든 앱은 어느 정도 FragmentManager를 사용하므로Fragment Manager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하여 학습을 진행한다.FragmentManager앱 프래그먼트에서 프래그먼트를 추가, 삭제 또는 교체하고 백 스택에 추가하는 등의 작업을 실행하는 클래스이다.Activity, Fragment에서 접근가능하다. FragmentActivity 에서 구현하므로, 해당 및 서브클래스에서는getSupportFragmentManager() 메서드를 통해 FragmentManager에 액세스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은 Fragment Manager가 있다고 하자.Hos..

진행한 프로젝트의 콜백지옥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학습을 진행 중suspend 함수의 내부 구조에 대해 학습하게 되었다. CPS에 대한 이론을 다뤄보겠다.Kotlin 컴파일러가 suspend 키워드를 만났을 때코루틴은 Continuation Passing Style(CPS) 형태로 동작한다.CPS는 호출되는 함수에 Continuation을 전달하고, 각 함수의 작업이 완료되는 대로 전달받은 Continuation을 호출하는 방식을 말한다.그렇다면 Continuation 이란 뭘까? Continuation 인터페이스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다.Continuation 인터페이스에는 크게 context객체와 resumeWith() 함수가 있다.context는 각 Continuation이 특정 스레드 혹은 스레드 ..

xml을 활용한 개인 프로젝트를 통해 Jetpack Room을 사용해보려고 한다!하지만 유명한 기술이라고 꼭 Room을 사용해야 할까? 다른 대안은 없을까? 하는 마음에사용 근거에 대해 조사하고, 그런 김에 기본적인 사용법도 학습하고자 한다!실제 사용 후 얻는 깨달은 점들도 추후 기록하고자 한다!Jetpack Room이란?Android의 SQLite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Jetpack 라이브러리이다.SQLite란?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사용해 데이터를 관리하며,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직접 생성하고 사용할 수 있게하는 라이브러리이다.안드로이드에선 앱을 종료해도 데이터가 남아있게 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데이터베이스 엔진이다.모든 데이..

Android LifeCycle이란?Android의 앱 구성요소가 생성부터 사용,소멸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대표적으로 Activity, Fragment, Service 등이 생명주기를 가지고있다. Activity LifeCycle생명주기를 살펴보기전에 자주 나오는 용어를 정리해보고자 한다.foreground는 가장 위에 있는 상태(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상태) 이고,background는 반대로 가장 아래에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제 각각의 콜백에 대해서 설명해보자.onCreate()액티비티가 생성될 때 호출된다. 단 한번만 호출되기 때문에, 필요한 변수를 초기화하거나,setOnClickListener , 뷰모델 등 초기화 작업에 적합하다. onStart() foreground가 될때마다 호출이 되어..

1. app수준의 build.gradle에 코드 추가 아래의 코드를 buildFeatures에 추가하면 된다.buildConfig = true2. gradle. properties에 코드추가아래의 코드를 추가해주면 된다.android.defaults.buildfeatures.buildconfig=true3. 위에 방법이 안될때build - clean Project를 진행한 후, file - invalidate Caches...를 진행마지막으로 build - Rebuild Project를 진행하면 웬만하면 된다.